노원구 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원구 갑은 1988년 노원구 분구와 함께 신설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로, 월계동, 공릉동, 중계동을 관할한다. 역대 선거에서 보수 정당과 진보 정당이 번갈아 가며 당선되는 경향을 보이며, 초대 국회의원은 통합민주당 백남치였다. 이후 함승희, 정봉주, 현경병, 이노근, 고용진이 당선되었으며, 2024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우원식이 당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노원구의 정치 - 노원구 병
노원구 병은 2004년 신설되어 2024년 폐지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노원구 을에서 분리된 상계동 일부로 구성되었으며, 임채정, 홍정욱, 노회찬, 안철수, 김성환 등이 역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 서울 노원구의 정치 - 노원구 을
노원구 을은 서울특별시 노원구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1988년 신설되어 여러 차례 선거구 개편을 거쳤으며, 대부분 더불어민주당 소속 의원이 당선되었으나 22대 총선부터는 노원구 갑에 통합되었다. - 서울특별시의 선거구 - 동작구 을
동작구 을은 1988년 동작구 갑에서 분리 신설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서울특별시 동작구 일부 지역을 관할하며 박실, 유용태, 나경원, 이수진 등 역대 국회의원을 배출했고 2024년 총선에서는 나경원 후보가 당선되었다. - 서울특별시의 선거구 - 종로구 (1988년 선거구)
1988년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종로구는 소선거구제 시행으로 단독 선거구로 치러졌으며, 민주정의당 이종찬 후보가 당선되었다. - 198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중구 (1988년 서울 선거구)
중구 (1988년 서울 선거구)는 1988년 제13대 총선을 앞두고 종로구·중구 선거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서울특별시 중구 지역의 국회의원 선거구였으나, 2016년 인구 감소로 성동구 갑·을 선거구와 통합되어 중구·성동구 을 선거구로 개편되었다. - 198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동작구 을
동작구 을은 1988년 동작구 갑에서 분리 신설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서울특별시 동작구 일부 지역을 관할하며 박실, 유용태, 나경원, 이수진 등 역대 국회의원을 배출했고 2024년 총선에서는 나경원 후보가 당선되었다.
노원구 갑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선거구 이름 | 노원구 갑 |
선거구 유형 | 단일 선거구 |
의회 | 국회 |
지역 | 서울특별시 |
관할 구역 | 노원구 |
선거구 설정 년도 | 1988 |
선출 의원 수 | 1 |
의석 수 | 1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국회의원 | 우원식 |
이전 선거구 | 도봉구 |
유권자 수 | 224,187 |
한국어 정보 | |
한글 | 노원구 갑 |
2. 역사
1988년 1월 1일 도봉구에서 노원구가 분리되면서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노원구 갑 선거구가 신설되었다.[21] 당시 노원구 갑의 선거 관할 지역은 창동, 월계동, 공릉동이었다. 1989년 도봉동과 창동이 도봉구로 환원되면서, 1992년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노원구 을의 하계동과 중계동을 편입하여 월계동, 공릉동, 하계동, 중계동으로 선거구가 조정되었다.
노원구 갑 선거구는 월계동, 공릉동, 중계동 지역을 포함한다. 북쪽으로는 노원구 을, 북서쪽으로는 도봉구 갑, 서쪽으로는 강북구 을, 남서쪽으로는 성북구 을, 남쪽으로는 중랑구 을, 동쪽으로는 구리시 선거구와 경계를 접한다.
1996년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중계1동이 중계본동, 중계1동, 중계4동으로 분리됨에 따라 중계본동, 중계2·3동만 남기고 중계1동과 4동은 노원구 을로 넘겼으며, 월계4동 (1994년 신설)이 관할 구역으로 추가되었다. 2000년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공릉3동 (1996년 신설)이 관할 구역으로 추가되었다.
2004년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노원구 병이 신설되면서 하계동과 중계본동, 중계2·3동을 노원구 을로 넘겼다. 이후 노원구 갑 내에서는 월계4동과 공릉3동이 다른 동에 통합되는 조정이 있었다.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노원구 선거구 개편에 따라 노원구 을 선거구에서 하계1동, 하계2동, 중계본동, 중계1동, 중계2·3동을 편입했다.
노원구 갑은 특정 정당의 지지세가 강하지 않은 지역(스윙 지역구)으로 평가받는다.[1] 역대 선거 결과를 보면 보수 정당과 진보 정당이 번갈아 가며 당선되었다. 초대 국회의원은 중도우파 통합민주당의 백남치였다. 백남치는 1992년과 1996년 총선에서 재선에 성공했다.[2] 2000년 총선을 앞두고 한나라당은 백남치를 재공천하지 않고 최동규를 대신 지명했다.[3][4] 백남치는 한나라당을 탈당하고 새천년민주당에 입당했지만,[5] 3위에 그치며 낙선했다.[6] 이후 진보 성향의 새천년민주당 소속 함승희가 당선되었고,[7] 함승희는 다음 선거에서 열린우리당 소속 정봉주에게 패했다.[8] 정봉주는 2008년 총선에서 보수 성향의 한나라당 현경병에게 패했다.[9] 현경병은 2011년 6월 10일 3천만 원 수수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고 의원직을 상실했다.[10][11][12]
2012년 총선에서는 보수 성향의 새누리당 소속 이노근이 당선되었으나,[14] 다음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고용진 후보에게 패했다.[15] 2020년 총선에서 고용진과 이노근이 재대결했고, 고용진이 큰 표차로 승리했다.[16] 2024년 총선에서는 더불어민주당 경선에서 우원식이 고용진을 제치고 후보로 지명되었으며,[17][18] 국민의힘은 현경병을 후보로 지명했다.[19] 우원식은 총선에서 현경병을 꺾고 당선되었다.[20]
3. 관할 구역
대수 관할 구역 13대 노원구 창1동, 창2동, 창3동, 월계1동, 월계2동, 공릉1동, 공릉2동 14대 노원구 월계1동, 월계2동, 월계3동, 공릉1동, 공릉2동, 하계1동, 하계2동, 중계1동, 중계2동, 중계3동 15대 노원구 월계1동, 월계2동, 월계3동, 월계4동, 공릉1동, 공릉2동, 하계1동, 하계2동, 중계본동, 중계2동, 중계3동 16대 노원구 월계1동, 월계2동, 월계3동, 월계4동, 공릉1동, 공릉2동, 공릉3동, 하계1동, 하계2동, 중계본동, 중계2동, 중계3동 17대 노원구 월계1동, 월계2동, 월계3동, 월계4동, 공릉1동, 공릉2동, 공릉3동 18대 노원구 월계1동, 월계2동, 월계3동, 월계4동, 공릉1·3동, 공릉2동 19대~21대 노원구 월계1동, 월계2동, 월계3동, 공릉1동, 공릉2동 22대~ 노원구 월계1동, 월계2동, 월계3동, 공릉1동, 공릉2동, 하계1동, 하계2동, 중계본동, 중계2·3동
3. 1. 상세 관할 구역
4. 역대 국회의원
선거 | 정당 | 의원 | |
---|---|---|---|
1988년 | style="background-color: " | | 통일민주당 | 백남치 |
1992년 | style="background-color: " | | 민주자유당 | |
1996년 | style="background-color: " | | 신한국당 | |
2000년 | style="background-color: " | | 새천년민주당 | 함승희 |
2004년 | style="background-color: " | | 열린우리당 | 정봉주 |
2008년 | style="background-color: " | | 한나라당 | 현경병 |
2012년 | style="background-color: " | | 새누리당 | 이노근 |
2016년 | style="background-color: " | | 더불어민주당 | 고용진 |
2020년 | style="background-color: " | | 더불어민주당 | |
2024년 | style="background-color: " | | 더불어민주당 | 우원식 |
백남치는 1988년부터 2000년까지 통일민주당, 민주자유당, 신한국당 소속으로 3선 국회의원을 역임했다.[5] 2000년 2월 23일 한나라당을 탈당하고 자유민주연합에 입당했다. 함승희는 2000년부터 2004년까지 새천년민주당 소속 국회의원이었다. 정봉주는 2004년부터 2008년까지 열린우리당 소속 국회의원을 지냈다. 현경병은 2008년부터 한나라당 소속 국회의원이었으나, 2011년 6월 10일 불법 정치자금 수수 혐의로 의원직을 상실했다.[11][12] 이노근은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새누리당 소속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2006년부터 2010년까지 노원구청장을 역임했다. 고용진은 2016년부터 2024년까지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2선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우원식은 2024년부터 더불어민주당 소속 국회의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5. 역대 선거 결과
5. 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울특별시 노원구 갑 선거구는 총 134,013명의 유권자 중 90,270명이 투표에 참여했다. 개표 결과 통일민주당 백남치 후보가 25,699표(28.46%)를 얻어 당선되었다. 평화민주당 박병일 후보는 24,602표(27.25%), 민주정의당 안대륜 후보는 21,754표(24.09%), 신민주공화당 성장기 후보는 10,640표(11.78%), 한겨레민주당 유인태 후보는 7,575표(8.39%)를 얻었다.5. 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울특별시 노원구 갑 선거구는 181,137명의 유권자가 투표에 참여했다. 민주자유당 백남치 후보가 42,487표(34.91%)를 얻어 당선되었다. 민주당 고영하 후보는 40,517표(33.29%), 통일국민당 박병일 후보는 38,684표(31.78%)를 얻었다.5. 3.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1996년)
1996년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울특별시 노원구 갑 선거구는 총 198,266명의 유권자가 있었다. 신한국당 백남치 후보가 43,859표(36.77%)를 얻어 당선되었다. 새정치국민회의 고영하 후보는 41,906표(35.13%), 자유민주연합 박병일 후보는 18,529표(15.53%), 통합민주당1995 유영래 후보는 11,503표(9.64%), 무소속 박남수 후보는 3,479표(2.91%)를 각각 획득했다. 총 119,276표 중 무효표는 없었다.5. 4.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2000년)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 함승희 후보가 43.17%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당선되었다. 한나라당 최동규 후보는 36.38%, 자유민주연합 백남치 후보는 9.77%, 민주노동당 이상현 후보는 6.74%를 득표하였다.5. 5.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2004년)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열린우리당 정봉주 후보가 42.69%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한나라당 현경병 후보는 30.58%, 새천년민주당 함승희 후보는 26.72%를 득표하였다.5. 6.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2008년)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현경병 후보가 41.58%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통합민주당 정봉주 후보는 37.62%로 2위를 기록하였다. 친박연대 함승희 후보는 17.34%를 득표했다.5. 7.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2012년)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울특별시 노원구 갑 선거구는 143,388명의 유권자가 있었다. 새누리당 이노근 후보가 50.06%의 득표율(40,865표)로 당선되었다. 민주통합당 김용민 후보는 44.20%(36,083표)를 얻었다. 무소속 우승배 후보는 3.56%(2,913표), 자유선진당 김철수 후보는 2.15%(1,761표)를 기록했다. 총 81,622표가 투표되었으며, 무효표는 없었다.5. 8.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2016년)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노원구 갑 선거구에서는 더불어민주당 고용진 후보가 41.79%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새누리당 이노근 후보는 39.37%, 국민의당 이형남 후보는 18.82%를 득표했다.5. 9.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2020년)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울특별시 노원구 갑 선거구는 더불어민주당 고용진 후보가 56.78%의 득표율로 재선에 성공했다. 미래통합당 이노근 후보는 38.74%를 득표하여 2위를 기록했다. 민중당 최나영 후보는 3.96%, 국가혁명배당금당 조덕실 후보는 0.51%를 득표했다.
5. 10.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2024년)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우원식 후보가 58.99%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국민의힘 현경병 후보는 41.00%를 득표하였다.참조
[1]
뉴스
[총선 격전지] '친명' 우원식 vs '오세훈계' 현경병…스윙보터 '노원갑' 표심은
https://newspim.com/[...]
2024-05-05
[2]
뉴스
3선 의원 지낸 백남치 전 의원 별세
https://www.sedaily.[...]
2022-05-04
[3]
뉴스
백남치의원, 내일 자민련 입당
https://n.news.naver[...]
2024-05-05
[4]
뉴스
공천무효소송 잇달아 .. 백남치/박우섭씨도 제기
https://n.news.naver[...]
2024-05-05
[5]
뉴스
백남치의원, 자민련 입당
https://n.news.naver[...]
2024-05-05
[6]
뉴스
백남치 전의원 징역5년 선고,법정구속
https://n.news.naver[...]
2024-05-05
[7]
뉴스
[4.13 총선] (제16대 국회의원 지역구 당선자) 서울
https://n.news.naver[...]
2024-05-05
[8]
뉴스
-정봉주(서울 노원갑)
https://n.news.naver[...]
2024-05-05
[9]
뉴스
서울 노원갑-한나라당 현경병 당선
https://n.news.naver[...]
2024-05-05
[10]
뉴스
'정치자금법 위반' 현경병 의원, 당선무효형
https://news.mt.co.k[...]
2010-12-16
[11]
뉴스
한나라당 170석 붕괴…현경병 의원도 상실
https://n.news.naver[...]
2024-05-05
[12]
뉴스
현경병 의원 벌금 3백만 원…의원직 상실형
http://www.mbn.co.kr[...]
2010-12-16
[13]
뉴스
[사설]전례를 찾기 힘든 지방의회 보선 미실시 이유
http://www.kyeongin.[...]
2024-05-05
[14]
뉴스
[4.11총선]서울 구청장 출신 이노근 신동우 후보 당선
https://www.asiae.co[...]
2012-04-12
[15]
뉴스
[출구조사] 주요 지역별 당선 예측 - MBC
https://www.nocutnew[...]
2016-04-13
[16]
뉴스
[21대총선 개표]서울 후보자별 득표현황(최종)
https://www.newsis.c[...]
2020-04-16
[17]
뉴스
'비명' 전해철 · 고용진 탈락…정동영 · 박지원 본선행
https://news.sbs.co.[...]
2024-05-05
[18]
뉴스
합구 '노원갑' 우원식 고용진 꺾어…'부천갑' 현역 김경협 탈락
https://www.news1.kr[...]
2024-03-13
[19]
뉴스
민주 '비명' 전해철 경선 탈락…'올드보이' 박지원·정동영 공천(종합)
https://www.yna.co.k[...]
2024-03-13
[20]
뉴스
[22대 총선 당선인] '정치계 중심' 서울 노원구갑 더불어민주당 우원식
https://www.mhns.co.[...]
2024-04-17
[21]
뉴스
경향신문
경향신문
1988-03-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